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플로리다 프로젝트> 테두리 밖에도 아이는 자란다


이 영화는 꿈과 희망이 가득한 힐링물이 아니다. 포스터에 낚여서 보는 사람이 없기를...

오히려 영화관에서 보지 않았다면 마음이 아파서 절대 한 번에 보지 못할 영화였다. 

보고나면 행복보다도 쓸쓸함과 찝찝함이 남는 영화 <플로리다 프로젝트>


꿈과 희망의 동산 디즈니에도 빛이 닿지 않는 그늘이 있고, 이곳에도 사람들은 살고 있다.

영화는 테두리 밖에 사는 이들을 다루고 있지만 그들의 불행을 동정하거나 연민하지 않는다.

주인공인 아이의 시선에선 허름한 모텔과 주위의 풍경도 동화가 된다. 


하지만 현실과 아이의 시선의 괴리가 이 영화를 아프게 한다. 아무리 동화처럼 포장을 해도 처참한 기분이 든다.  



플로리다 올랜도에 위치한 전 세계적인 테마파크 디즈니 건너편에 스물두 살의 미혼모 핼리와 여섯 살 소녀 무니가 살고 있다.

이들은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비슷한 이웃들과 함께 '매직 캐슬' 이라는 모텔에 장기투숙 중이다. 

핼리는 해고를 당하고 생활은 점점 곤궁해지지만 무니와 핼리 친구의 아들 스쿠티는 천방지축 사고를 몰고다닌다. 

매직 캐슬 건너편의 또 다른 모텔 '퓨처 랜드'에 새로운 소녀가 이사를 오면서 

꼬마 악동들은 가게들과 폐허를 모험하며 재미있는 여름이 펼쳐지는데...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등장인물들은 테두리 밖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영화는 그들은 선하게 포장하지 않는다. 동정하지 않고 거리를 두며 현실적으로 담으려 한다.


무니는 친구들과 어울려다니며 장난이라기에는 도를 넘는 사고를 치고 다니고

미혼모 핼리는 돈을 벌기 위해서라면 위법도 서슴치 않는다. 그들의 이웃들도 마찬가지다.


안쓰러워지다가도 그들의 행동에 눈쌀찌푸려지고, 욕을 하고 싶다가도 마냥 그들을 탓할 수 없어진다.

그리고 이런 영화의 시선은, 이들이 내가 내려다보는 존재가 아니라 나와 같은 존재임을 알려주는 것 같았다.



"천진한 위악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다. 위악은 약자들이 택하는 보호방법이다.

현실에서 위악은 짜증나지만 이야기 속, 특히 어린이의 위악은 짠하다.

자기를 보호하려는 본능이 떠오른다. 불편함을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 불편함이 환기시키는 것이 있고 의미가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런 것을 좋아한다."


-김영하 작가 GV 시사회에서


영화관련 정보를 찾아보다가 가장크게 공감했던 글. 

영화를 보며 불편했던 무니의 악의적인 행동이 어째서 안쓰러웠던건지 바로 이해가 갔다.

천진한 위악. 어쩌면 자기를 보호하려 세운 고슴도치의 가시일 것이다.

불편함에도 외면할 수 없는건, 그들이 아무리 위악을 떨어도 여전히 약자라는 사실때문인것같다.




월트디즈니는 1965년 플로리다에 아이들을 위한 꿈의 테마파크를 건설하려 했고 이를 '플로리다 프로젝트'라고 불렀다.

이상과는 다르게 플로리다 전체가 아니라 올랜도 일대에 테마파크가 지어졌지만, 환상의 낙원이 눈앞에 실현된 것이다.


하지만 환상 뒤에는 참혹한 현실이 있다. 빛이 있으면 그늘이 생기는 것처럼 디즈니 외곽에 소외계층이 생겨났다.

지금은 집 없는 사람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을 '플로리다 프로젝트'라고 불린다니, 

환상과 현실의 괴리를 담은 영화 제목으로 이 얼마나 적절한지 모르겠다.

 


"내가 왜 이 나무를 제일 좋아하는지 알아?"

"왜?"

"쓰러졌는데도, 자라잖아."


현실과는 모순적이게도 영화의 색감은 너무나 예쁘다. 아이들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그 어떤 세상 밑바닥이어도 이렇게 아름다운걸까?

영화를 보는 내내, 어른이 된 무니가 과연 이 시절을 어떻게 추억할까 궁금했다.

천방지축 모험들을 떠올리며 그리워하고 그때로 돌아가고 싶을까, 아니면 참혹했던 생활에 자신이 안쓰러워질까


어쨌든 쓰러져도 자라는 나무처럼 무니가 그 어떤 시련에도 다시 일어서는 사람이 되었기를 간절히 바라게 된다.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준 무니와 핼리


무니는 미국 영화 비평가 협회에서 최연소 아역상을 받았다고 한다. 

깜찍한 외모와 실제 현실같았던 자연스러운 연기. 특히 마지막에는 여운이 엄청났다.

ㅋㅋㅋㅋ아이스크림 먹방도 빼놓을 수 없고


핼리는 인스타그램으로 감독이 섭외한 비전문배우였다는데, 처음이라고는 믿기지 않을정도의 연기여서 처음엔 많이 놀랐다.

하루벌어 하루먹고사는 미혼모. 그 위태로운 모습이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크게 감정이입할수있었던것 같다.



영화의 결말도 인상깊다. 현실같던 스토리 진행중에 가장 동화같은 부분이 아닐까싶다.

어쩌면 그렇기에 실제가 아니라 무니의 상상일수도 있을꺼란 생각을 했다.

감독이 무니에게 보내는 위로 같기도 했다.


<플로리다 프로젝트>. 보는 내내 편치 않았던 영화였지만, 오래도록 여운이 남을 영화였다.